신장이식공여자조건과 공여자 검사절차 공여자수술 후기 추후관리

신장이식공여자조건과 공여자 검사절차 공여자수술 후기 추후관리

최근에는 신장이식수술 전후에 실시하는 보존적 치료방법이 향상되고 새로운 가 개발되고 과거에는 이식의 대상이 아니라고 여겨지던 환자에도 신장이식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즉 원인에 상관없이 말기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신장 이식이 가능합니다. 과거에는 악성 종양, 약물 남용자, 이나 만성 활동성 을 앓고 있는 경우, 등 활동성 감염 질환자, 급만성 심혈관 질환, 뇌혈관질환, 심한 관상동맥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 신장이식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좋은 약제의 개발 등으로 조금씩 기준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즉 악성종양의 경우에도 , , 조기 등을 포함한 많은 환자에서 일정시간이 지나 정밀검사 후 재발이 없습니다.면 이식수술이 가능하며, 만성B형 간염 보균자도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좋은 약제가 만들어진 관계로 정밀검사를 통해 간 기능이 잘 유지되어있으면 이식수술을 받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imgCaption0
후기 합병증

후기 합병증

신장이식 환자들이 경험하는 후기 합병증에는 , 등의 심장관련질환, , 뇌출혈, 뇌경색등의 뇌관련질환, 동맥경화를 동반하는 하지 혈관질환, 각종 감염성질환, 이식 후 , , , 과 시력저하 등의 안과질환, , 허리 , , 골다공증을 포함한 근골격계 합병증, 재발성 질환, 악성 종양 등이 있습니다. 혈관관계 질환을 보시면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들은 면역억제제의 부작용과 원래 갖고 있는 질환의 영향으로 고혈압의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또한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콜레스테롤 등의 혈중 지질농도가 일반인에 비해 높습니다. 이와 같은 고혈압과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며 동맥경화증에 의해 협심증, 뇌출혈 등의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 등을 생활화해야 하며 금연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이요법이 잘 안되어 비만해지면 심혈관계 질환의 빈도가 재빠르게 증가합니다.

생체 신장이식

생체 신장이식은 크게 혈연간 신장이식과 비혈연간 신장이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 후 성적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수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신장 수혜자와 신장 공여자 사이의 혈액형이 수혈 가능한 혈액형이어야 하고 수혜자와 공여자와의 림프구 교차 반응검사에서, 신장이식 대상인 환자에게서 공여자에 대한 항체가 나타나지 않아야 합니다. 최근에는 수혈이 불가능한 경우나 림프구 교차반응 검사 양성인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집중적인 의학적인 조작을 통해 이식수술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신장이식 수술의 알맞은 공여자 선정을 위해 백혈구 조직적합항원 검사와, 림프구 교차 반응 검사, 일반 신체검사, 공여자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검사신장 혈관촬영검사 포함를 시행하게 되며 공여자 신체검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경우는 신장 기증과 공여가 제한됩니다.

출처 신장이식의 절차

KONOS를 통해 을 받을 환자로 선정되면 신장이식 대상자는 해당 병원 코디네이터로 부터 전화 연락을 받는 즉시 해당 병원에 오셔서 입원하여 필요한 추가 검사를 시행 받고, 이식 전문의와 수술 과정 및 수술 후 주의사항을 보호자와 함께 면담한 후 최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게 됩니다. 병원에서는 KONOS에서 지정된 제 1순위 환자와 차순위 환자 여러 명을 한꺼번에 연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제1순위 환자에게서 의학적인 문제가 최종 확인되는 경우 차순위 환자에게 지체없이 이식 수술을 진행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식 수술 시간은 35시간 정도 소요되며, 수술 직후 회복실이나 집중치료실로 옮겨져 환자의 상태와 소변 배출 상황 및 전신 상황을 관찰한 후 경과에 따라서 일반병동이나 이식병동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이식 수술 스타트 시간은 해당 뇌사자의 장기 적출의 종류나 적출 시간에 따라서 매우 유동적입니다.

정기 검진

환자분들이 체감하는 이상 증상이 없더라도 주치의에 의한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이는 어느 정도 에 이상이 있어야만 환자가 체감하는 증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이유와 더불어 면역억제제의 조정이 필요함으로 반드시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대개 이식 후 3개월 이내인 경우에는 자주 검진이 필요하나이기간이 급성 이 자주 행해지고 면역억제제의 조정이 자주 필요한 시점입니다. , 시간이 지나 이식 후 3개월이 지나면 월 1회, 1년이 지나면 2개월에 한번, 이식 후 23년이 지나면 3개월에 한번은 최소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물론 환자의 이식신 기능 경우에 따라 그리고 주치의의 진료정책에 따라서 내원하여 검진하는 기간이 조절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병원에 연락 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후기 합병증

신장이식 환자들이 경험하는 후기 합병증에는 , 등의 심장관련질환, , 뇌출혈, 뇌경색등의 뇌관련질환, 동맥경화를 동반하는 하지 혈관질환, 각종 감염성질환, 이식 후 , , , 과 시력저하 등의 안과질환, , 허리 , , 골다공증을 포함한 근골격계 합병증, 재발성 질환, 악성 종양 등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생체 신장이식

생체 신장이식은 크게 혈연간 신장이식과 비혈연간 신장이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 후 성적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출처 신장이식의 절차

KONOS를 통해 을 받을 환자로 선정되면 신장이식 대상자는 해당 병원 코디네이터로 부터 전화 연락을 받는 즉시 해당 병원에 오셔서 입원하여 필요한 추가 검사를 시행 받고, 이식 전문의와 수술 과정 및 수술 후 주의사항을 보호자와 함께 면담한 후 최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